Acute Intermittent Porphyria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porphobilinogen deaminase 결핍에 의한 heme 생합성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이 질환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의 약 90%는 청소년기 이전에만 잠복해있으며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혹 증상이 나타난다 해도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이 질환은 호르몬, 약물, 음식물 섭취에 의해 더 악화된다. 전형적인 증상은 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장폐색증, 고혈압, 심박 급속증, 운동근육 신경장애, hyponatremia를 포함하고 종종 검거나 붉은 뇨를 보인다.
▶확진 검사
: 소변 ALA와 PBG ; 적혈구에서 PBG deaminase activity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우성
▶산전 진단
: 가능
Adrenoleukodystrophy(ALD), X-linked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peroxisome에서의 lignoceroyl CoA lyase의 결핍에 의한 very long chain fatty acids(VLCFAs)의 대사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X-linked ALD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임상형이 있다. Childhood form(형태)은 가장 일반적으로 case의 약 50%정도이다. 병에 걸린 남자는 초기 발육은 정상이고 5-7세 사이에 학업능력 부족이나 학교 부적응증과 같은 증상이 시작된다. 치매를 일으키기도 하고 점차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다가 식물인간상태로 된다. 신경학적 문제는 일반적으로 adrenal insufficiency로 인해 발병된다. 그 외에도 점진적 성인형(progressive form)과 adult cerebral form, adrenomyeloneuropathy등을 포함한다. Adrenomyeloneuropathy 환자는 paraparesis와 sphincter disturbance를 보인다. ALD 환자의 10%는 단지 adrenal insufficiency 형태의 질환을 보인다.
초기의 발육은 정상이며, 5-12세 사이에 증상이 시작된다. 부신기능부전증보다는 신경학적 증상이 먼저 나타나고, 계속 악화되는 경과를 밟는다. 비정상적 자폐증, 주의산만, 보챔, 기억력감퇴 및 치매 등 행동장애와 시력소실, 강직 및 보행장애가 대부분의 초기 증상이며, 구음장애, 연하장애, 중추성 청력소실도 흔하나, 경련 발작은 늦게 나타난다. 일부에서는 부신기능 부전증의 증상들, 즉 피로, 간헐적 구토 및 짙은 피부색 등이 나타나며 궁극적으로 환자들은 식물인간이 되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후 6개월 내지 10년 사이에 부신기능부전 등으로 사망한다.
▶확진 검사
: 혈액 Very Long Chain Fatty Acids(VLCFAs) ; VLCFAs, DNA 돌연변이 분석(피부 섬유아 세포)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X-linked 열성
▶산전 진단
: 가능
Arginase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urea cycle의 효소인 arginase 결핍에 의한 질소화합물인 암모니아로의 배출(waste ammonium nitrogen)에 문제가 있는 대사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팔, 다리 마비, 경련성 마비 및 정신 지체로 나타난다. 고암모니아증은 (구토, 혼수상태, 정신 지체) urea cycle의 다른 질환에서와 유사한 정도를 보이기도 하지만 urea cycle 보다는 정도가 심하지 않다.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glutamine이 증가하고 혈액과 소변에서 모두 arginine이 증가한다. 유기산 분석 시 Orotic acid가 존재한다.
▶확진 검사
: 혈액, 소변 아미노산 ; 소변 유기산 ; 효소 검사(적혈구와 간) (해외 의뢰검사) ; DNA linkage analysis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산전 진단
: 가능
Argininosuccinic acid lyase (ASAL)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urea cycle 효소인 argininosuccinic acid lyase 결핍에 의한 질소화합물인 암모니아로의 배출(waste ammonium nitrogen)에 문제가 있는 대사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임상적 증상은 신생아 시기에 나타나거나 그 후 다양한 임상 증상의 경·중의 형태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신생아기의 경우 생 후 24-72 시간 사이에 구토, 무기력 증가, hypothermia(저체온증)와 hyperventilation(과호흡증후군)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진단되지 못하면 유아는 급속히 혼수 상태로 되며 호흡곤란이 온다. 진단 안된 환아는 일반적으로 사망한다. 일반 화학검사에서는 1mg/dl 보다 낮은 serum urea nitrogen만이 나타날 수도 있다. 혈장의 암모니아는 정상의 10-30배 정도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고암모니아는 유전성 대사이상질환의 가능성을 즉각적으로 암시한다. 아미노산 분석으로 혈액에서 glutamine과 citrulline의 상승과 혈액과 소변 모두에서 argininosuccinic acid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소변 유기산 분석에서 orotic acid가 나타난다. late onset 그룹에서는 1살에서 성인까지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유아기에서는 증상은 모유나 저단백형 포뮬라에서 우유로 바뀌어짐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어린이나 어른의 경우는 고단백 음식 섭취를 줄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감염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어 호흡곤란, 구토, 무기력증, 흥분성, 심리적, 신체적 불안, 운동실조증, 때때로 무호흡증, 졸중풍(발작)과 같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낸다. 그밖에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원인 모를 간비대증이 나타나고 trichorrhexis nodosa와 같은 특징적인 모발(hair) 형태를 보인다.
▶확진 검사
: 혈액, 소변에서의 아미노산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Orotic acid) ; 효소 검사(피부 섬유아 세포와 간)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산전 진단
: 가능
Arginosuccinic acid synthetase deficiency (Citrullinemia)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urea cycle 효소인 argininosuccinic acid 합성 결핍에 의한 질소화합물인 암모니아로의 배출(waste ammonium nitrogen)에 문제가 있는 대사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임상적 징후는 신생아 시기에 나타나거나 다양한 임상적 경.중등을 보이며 그 후 어느 때나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기의 경우 생 후 24-72 시간 사이에 구토, 무기력 증가, hypothermia(저체온증)와 hyperventilation(과호흡증후군)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진단되지 못하면 유아는 급속히 혼수 상태로 되며 호흡곤란이 온다. 진단 안된 환아는 일반적으로 사망한다. 일반 화학검사에서는 1mg/dl 보다 낮은 serum urea nitrogen만이 나타날 수도 있다. 혈장의 암모니아는 정상의 10-30배 정도 증가한다. 아미노산 분석에서 혈액의 glutamine과 citrulline을 확인하고 소변 중 유기산 분석으로 orotic acid의 존재를 확인하여 진단한다. . late onset 그룹에서는 1살에서 성인까지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유아기에서는 증상은 모유나 저단백형 포뮬라에서 우유로 바뀌어짐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어린이나 어른의 경우는 고단백 음식 섭취를 줄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감염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어 호흡곤란, 구토, 무기력증, 흥분성, 심리적, 신체적 불안, 운동실조증, 때때로 무호흡증, 졸중풍(발작)과 같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생화학적으로 비정상적인 것은 신생아기에 발병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확진 검사
: plasma 와 소변 아미노산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Orotic acid) ; 효소 검사(피부 섬유아 세포와 간) (해외 의뢰검사) ; DNA linkage Analysis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산전 진단
: 가능
Biotinidase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biotinidase에 의해 biocytin이 biotin과 lysine으로 갈라지는 것이 잘 안되는 biotin 기능 결핍증으로 발생되는 질환이다. 이것은 또한 propionyl CoA carboxylase, 3-methylcrotonyl CoA carboxylase, pyruvate carboxylase를 포함하는 multiple carboxylase 효소의 활성도를 떨어뜨려 이런 효소의 결핍증을 유발한다.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임상적 증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특징은 발작, 힘이 없음(hypotonia), 운동 실조, 호흡 곤란, 청력 상실, 시신경 위축, 발육 저하, 피부 발진, 탈모증 등이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수주에서 수년이다. 어떤 경우는 10세에 발병하기도 하였다. 모두는 아니지만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는 어린이는 대사성 케톤산증(ketolactic acidosis)과 organic aciduria가 나타난다. 유기산 profiles에서는 3-hydroxyisovalerate, lactate, 3-hydroxypropionate, 3-methylcrotonylglycine, methylcitrate가 나타난다.
▶확진 검사
: serum에서 biotinidase activity ; 유기산 검사(진단 가능한 경우도 있음)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산전 진단
: 가능
Canavan disease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aspartoacylase의 결핍에 의해 발생한 뇌 화학물질 N-acetylaspartic acid 의 대사에 의한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병에 걸린 환아는 일반적으로 태어났을 때 정상이지만 자랄수록 머리를 똑바로 들지 못하고 발작, 2-4달 사이에 비정상적인 근육 경직을 보인다. 또한 또한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는 힘이 없다가 갑자기 빠르게 spasticity로 전이하여 근육 긴장 항진(hypertonia)이 나타날 수 있다. 근긴장이 증가하면서 잘 움직이지 못하고 자세를 바로 잡지 못하게 된다. 대두증은 거의 대부분 6개월쯤 발생한다. 또한 발작, 연하장애, 시신경 위축, 안구진탕증이 나타난다. 뇌 이미지에서는 일반적으로 백질의 대칭적인 비정상 부분이 확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확진 검사
: 소변에서의 N-Acetylaspartic acid와 plasma의 N-Acetylaspartic acid ; aspartoacylase 활성도(피부 섬유아 세포) ; DNA mutation analysis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 Ashkenazi Jews에서 흔히 발생
▶산전 진단
: 가능
Carbamyl phosphate synthetase (CPS)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urea cycle 효소인 carbamyl phosphate 합성물질의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질소화합물인 암모니아로의 배출(waste ammonium nitrogen)에 문제가 있는 대사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임상적 징후는 신생아 시기에 나타나거나 다양한 임상적 경.중등을 보이며 그 후 어느 때나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기의 경우 생 후 24-72 시간 사이에 구토, 무기력 증가, hypothermia(저체온증)와 hyperventilation(과호흡증후군)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진단되지 못하면 유아는 급속히 혼수 상태로 되며 호흡곤란이 온다. 진단 안된 환아는 일반적으로 사망한다. 일반 화학검사에서는 1mg/dl 보다 낮은 serum urea nitrogen만이 나타날 수도 있다. 혈장의 암모니아는 정상의 10-30배 정도 증가한다. 고암모니아는 유전성 대사이상질환의 가능성을 즉각적으로 암시한다.
▶확진 검사
: 혈장과 소변 중 아미노산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Orotic acid) ; 효소 검사(간) (해외 의뢰검사) ; DNA linkage Analysis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산전 진단
: 가능
Carbohydrate deficient glycoprotein(CDG) syndrome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phosphomannomutase(CDG type Ia)과 phosphomannose isomerase(CDG type Ib)를 포함하는 효소들 중 하나의 결핍에 의해 glycoproteins의 hypoglycosylation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현재 알려져 있는 6종의 CDG type(Ia, Ib, Ic, Id, Ie, IIa)은 신경, 간, 내장 기관에 문제가 발생한다.
CDG type Ia ? 가장 잘 알려져 있음. multisystem disease로 유아 초기 심한 신경학적 증상(발육저하와 운동 기능장애 : 결국 휠체어에 의지하게 됨)
CDG type Ib - 단백질-손실성 내장 질환과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간 질환
CDG 기타 type ? 신경학적인 증상, 간장, 내장 질환
다양한 임상 질환(multisystem 포함) : 심근병변, pericardial effusions, 유두 함몰, 비정상적인 엉덩이 지방 축적, 응고 장애, 낭포성 신장, 신장 증후군, 소뇌 형성부전(cerebellar hypoplasia), 시신경 위축, olivopontocerebellar strophy, stroke-like episodes, 안구진단증, esotropia, retinitis pigmentosa, 성장 저해, 말초 신경질환
▶확진 검사
: transferrin isoelectric focusing study ; 효소 검사(경우에 따라, 백혈구와 피부 섬유아 세포)(해외 의뢰검사) ; 돌연변이 검사(mutation analysis, 경우에 따라)(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
▶산전 진단
: 경우에 따라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 (CPT I)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의 결핍으로 acylcarnitine 형성 결함과 지방산 산화 대사 장애를 위한 긴사슬 지방산의 CoA가 미토콘드리아내로 이동하지 못함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대부분의 병에 걸린 환자는 유기산 분석에서 dicarboxylic aciduria는 나타나지 않는다. 생 후 8-18개월 사이에 hypoketotic hypoglycemia를 나타낸다. 혼수상태, 발작, 간 비대증이 흔히 나타난다. 혈장의 카르니틴 수치는 정상이거나 상승한다. 신장 세뇨관 산(성)증이 한 환자에서 나타난것으로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병이 재발하며 처음 뇌의 손상 충격으로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한다. 장시간의 금식을 피하고 식이요법을 함으로써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확진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 ; 효소 검사(피부 섬유아세포, 백혈구, 다른 조직에서 CPT I) (해외 의뢰검사) ; gene(유전자) sequencing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I (CPT II)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간 미토콘드리아에서의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I의 결핍으로 긴사슬 acylcarnitines에서 acyl-CoA로 전환되지 못함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classical muscular form(근육형) ; 가장 흔하며 장시간의 운동에 의해 근육이 약화되거나 myoglobinuria를 보인다. 대게 15-30살 사이에 발병한다. 때때로 금식이나 감염, 스트레스, 감기등에 의해 myoglobinuria가 촉발되기도 한다. 상염색체 열성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이병은 남자에게 더 많다. 질환이 발병되는 때를 제외하고는 카르니틴 수치와 CPK 수치는 정상이다. 환자의 약 25%에서는 질환의 결과로 일어나는 myoglobinuria로 인하여 신장 기능이 손상된다.
- fetal infautile foem(영유아기형) ; 사망할 수도 있는 치명적인 형태로 혼수상태, 발작, hypoketotic hypoglycemia가 나타난다. 신장 기형을 보이는 3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간비대, 심근염, 유기산에서 dicarboxylic aciduria, 혈장이나 조직에서 낮은 카르니틴 수치는 나타나지 않는다.
▶확진 검사
: 소변중 유기산 검사 ; 효소 검사(피부 섬유아세포, 백혈구, 다른 조직에서 CPT I) (해외 의뢰검사) ; gene(유전자) sequencing (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Fabry disease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리소좀 hydrolase α-galactosidase A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glycosphingolipid 분해작용의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Fabry disease의 임상적 증상은 우선적으로 혈관의 내피에 globotriaisylceramide이 축적됨으로서 나타난다. 병에 걸린 남자에게서의 임상 증상은 흔히 어린시절이나 사춘기 사이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20대나 30대에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증상은 주기적인 사지말단등 말단 부위의 심한 통증, angiokeratoma, 혈관 각화증, hypohidrosis, 각막과 수정체의 혼탁화 현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 단백뇨, hyposthenuria, lymphedema로 나타나고 마침내 심각한 신장 손상으로 인해 고혈압, 요독증이 된다. 일반적으로 신장기능 상실이나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사망한다. mild variant는 발병이 늦고 임상증상이 미약하게 나타나며 주로 심장에만 증상이 나타난다. 이형접합체(보인자)인 여자(heterozygote)는 일반적으로 자각증상이 없지만 드물게 남자환자와 같이 심한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치료는 효소치료요법(Enzyme replacement therapy)이 있다.
▶확진 검사
: plasma나 백혈구에서 α-galactosidase A activity ; DNA mutation analysis(돌연변이 검사)(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X-linked
▶산전 진단
: 가능
Galactosemia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galactose-1-phosphate uridyltransferase(classical galactosemia)나 UDPGal epimerase 나 galactokinase의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galactose 대사의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1960년대 마국에서 시작한 신생아 스크리닝의 도입으로 classical galactosemia (galactose-1-phosphate uridyltransferase 결핍)의 검출을 위한 검사방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따라서 조기 발견 함으로써 실제 임상 증상을 나타낸 환자는 소수였다. 신생아 스크리닝 검사에 의해 대게 생후 첫 주 이내에 진단되어진 경우이다. 이 어린이들은 혈중 galactose-1-phosphate의 상승으로 신생아 스크리닝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의 classical galactosemia나 UDPGal epimerase 결핍의 경우 보통 출생 후 몇 주내에 구토, 힘이 없음,혼수상태, 간기능 장애, 백내장의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스크리닝에서 검출되지 않아 치료하지 않은 환자의 약 30%는 패혈증(sepsis)이다. 이들은 패혈증이 치료되어 살아남는 경우라도 결국 정신 지체, 계속되는 백내장과 간염(hepatitis)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치료를 한 경우라도 여자의 경우 난소기능부전이 된다. 진단되지 않은 galactokinase 결핍 환자는 일반적으로 백내장과 pseudotumor cerebri를 나타낸다.
▶확진 검사
: galactose-1-phosphate 수치, RBC galactose-1-phosphate uridyltransferase 활성도 (또는 효소 검사(UDPGal epimerase 또는 galactokinase))(해외 의뢰검사) ; DNA mutation analysis(돌연변이 검사)(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Gaucher disease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발생하며 리소좀에서 glycolipid glucocerebroside의 ceramide와 glucose로의 분해 및 대사에 이상이 생긴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Type I - Gaucher disease에는 3가지 형태가 있다. 가장 흔하며 중추 신경계 기능 부전이 없다는 점이 다른 유형과 구별되는 점이다. Type I 임상적 증상은 간비종대(hepatosplenomegaly)와 born infarction과 골절, thrombocytopenia(혈소판감소증)에 의해 발생하는 출혈이 있다. 빈혈이 흔히 나타나며 헤모글로빈 수치가 5mg/dL 정도로 낮아 심한 임상 증상을 보인다고는 하지만 대개의 경우 경미한다. 연령은 어느 연령에서도 나타나며 80-90세에도 진단되기도 하며 나이의 중간치는 33세이다. Type I과 함께 나타나는 흔치 않은 합병증은 폐기능 손실이다. 이것은 Gaucher 세포의 폐내 침투나 갈색, 또는 황갈색 피부 착색으로 야기되며 lymphproliferative 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Type II - Gaucher 질환은 일반적으로 좌우 양측에 고정된 사시나 안구 시신경 운동 장애와 같은 안구 운동 이상증과 함께 유아기에 나타난다. 간비종대도 관찰된다. 이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어린이는 spastisity, 감각 기술의 퇴보, 발작등을 보인다. 대게 2살 정도에 사망한다.
Type III ? 1세 경 심한 간비종대가 나타나는 intermediate form이다. 신경학적 증상은 10살되기 전 어린이의 약 1/2에서 나타나며 보통 눈 움직임의 장애가 있다.
▶확진 검사
: 백혈구 glucocerebrosidase 효소 활성도 검사 ; DNA mutation analysis(돌연변이 검사, 경우에 따라)(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Ashkenazi Jews에서는 보통 type I이, 북유럽의 스웨덴에서는 type III가 많이 발병
▶산전 진단
: 가능
Glutaric acidemia type I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glutaryl CoA 탈수소효소의 결핍에 의한 아미노산인 tryptophan과 lysine의 대사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이 질환은 종종 출생 시 대두증과 함께 나타난다. 대게 어느 기간동안 정상 성장 하다가 hypotonia의 갑작스런 발병과 머리 조절능력 감소, 발작, opisthotonos, dystonia가 나타나고 서서히 불완전하게 회복된다. 신경학적 징후는 서서히 나타나고 질병과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케톤증, 구토, 간비대, 뇌병변(encephalopathty)이 오게 된다. 어떤 경우는 주체의존계의 뇌성마비형태가 되기도 한다. 어떤 환자는 운동신경이 느려지고 hypotonia, 긴장이상, 운동장애가 생후 첫 몇 년에 걸쳐 점차로 증상이 나타난다. Ketoacidosis, 저혈당증, 고암모니아증, 경비한 parenchymal성 간 질환이 심각한 episodes시에는 나타날 수가 있다. 병균감염, 수술, 신생아의 스트레스, 그리고 지나친 단백질 섭취와 같은 것이 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확진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 ; 피부 섬유아세포 glutaryl CoA 탈수소 효소법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Glutaric acidemia type II(Multiple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전자 받아들이는 단백질 electron transfer flavoprotein(ETF) 및 ETF-ubiquinone 산화환원효소(ETF-QO)의 결손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환자는 early onset과 late-inset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성 기형과 함께 신생아기 때 증상이 있거나 기형이 없이 신생아기에 증상을 나타내는 두 형태로 나타난다. 기형과 신생아 때 발병하는 경우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대사성산증, 저혈당증, 고암모니아증, 발냄새(sweaty feet odor), 힘이 없음(hypotonia), 간 비대를 보인다. 이 경우는 안면기형이나 성기 기형, 낭포성 신장 기형을 가지고 있고 생후 1주 이내 혼수 상태가 되어 사망한다. 기형없이 신생아기에 발병하는 경우 위와 유사한 생화학적 특징을 보이며 발병 하루 이내에 사망한다. Late-onset의 glutaric aciduria type II는 임상 양상이 매우 다양하고 유아기 때 episodic 구토, acidosis, 저혈당증이 발생하지만 어른이 되어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이때는 간비대와 proximal 근 질환과 같은 위 유사한 생화학적 특징을 보인다. 그 외에도 점진적인 근병변과 운동실조가 보고되었다. 어떤 환자에서는 뇌졸증과 같은 증상도 보인다.
▶확진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와 혈장 및 소변 중 아미노산 검사 ; 피부 섬유아세포 ETF/ETF-QO assay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Glycogen storage disease(GSD)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glycogen의 합성, 분해, 조절에 관련된 여러 단백질의 하나인 특정 효소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군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Glycogen storage 질환은 아래와 같이 다양하나 보통 간이나 근육의 두 조직에 glycogen 이 가장 많이 축적되며 이의 축적 정도에 따라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간의 포도당 대사와 항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간비대와 저혈당증이 나타난다. 근육에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에서는 보통 근육 경련, 운동 불내성, 피로, 점진적인 근육 약화를 동반하게 된다. 좀 더 흔히 나타나는 GSD에 대해 간략히 다음에 기술한다.
GSD type I (von Gierke disease)
간, 신장, 내장 점막의 glucose 6-phosphatase activity의 결손에 의한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생후 3-4개월사이에 간비대와 저혈당성 발작이 나타난다. 어린이들은 뺨에 과도한 지방 조직이 생기며 복부가 불룩하고 상대적으로 팔다리는 얇고 키가 작으며 인형 같은 얼굴을 가진다. 이 경우 신장은 매우 크다. 생화학적으로는 간비대와 대사성산성증, lactate 상승, 고뇨산혈증, 고지방혈증이 관찰된다. 간의 transaminase 수치는 보통 정상이거나 단지 약간 상승한다.
GSD type II (Pompe disease)
Acid maltase의 결손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크게 두가지 임상 양상으로 나뉜다. Classic infantile form ; 심근증, hypotonia를 보이며 생후 1년 내에 사망한다. Childhood, adult onset form ; 서서히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근육 질환으로 골격과 근육에만 주로 나타난다. GSD type V (McArdle disease)
근육 phosphorylase의 결핍에 의한 질환으로 환자는 보통 과격한 운동에 견디지 못하며 근육 경련을 일으킨다. 환자의 약 절반은 운동 후에 갈색의 소변과 함께 rhabdomyolysis와 myoglobinuria가 나타난다. 보통 격렬한 운동 후 심각한 myoglobinuria로 인해 이차적인 신장 기능 부전이 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짧고 강한 운동이나 지속적인 활동을 하는 경우 병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다. 환자는 쉬는 동안이라 하더라도 CPK 수치가 증가하고 운동하는 동안에는 혈중 암모니아가 상승하며 uric acid도 증가한다.
▶확진 검사
: 효소 검사(근육, 간, 백혈구, 적혈구, 배양된 섬유아세포)(해외 의뢰검사) ; DNA mutation analysis(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대부분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한 경우도 있슴
Hemochromatosis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6번 염색체에 위치한 HLA-linked iron-loading gene의 결함에 의한 철의 과량 흡수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임상적 증상의 발현은 식이 중 얼마나 충분한 철을 섭취했는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전형적인 미국식 식이를 하는 경우 남자의 경우 50세에 질환이 발병되기도 한다. 하지만 여자의 경우 월경과 철 흡수 감소 때문에 질환의 발병은 남자보다 약 10배 낮다. 증상은 간, 심장, 췌장, 내분비 기관, 피부, 관절에 우선적으로 발병한다. 가장 흔히 보이는 임상적 증상은 간경변, 심근증, 진성 당뇨병, hypogonadism, 피부 색소형성, 관절염 등이다. 혈장 중 의 철 transferin saturation, 혈장 중 ferritin등이 모두 상승한다.
▶확진 검사
: DNA mutation analysis(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Homocystinuria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시스타치온 b 합성효소결핍(classical homocystinuria) 혹은 methylenetetrahydrafolate 환원효소 결핍으로 인한 이차적인 homocysteine의 대사부전, 비타민 B12 대사(코발라민과 trans코발라민 II 결함)이상이나 혹은 비타민 B12 나 엽산의 영양 결핍증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1960년대 마국에서 시작한 신생아 스크리닝의 도입으로 classical 호모시스틴뇨증(시스타치니온 B 합성 결핍)의 검출을 위한 검사방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출생후 첫 주안에 혈액 중 methionine의 상승을 검출하여 스크리닝 검사로 진단된다. 스크리닝 후 정밀 검사인 아미노산 분석으로 호모시스틴과 메치오닌의 상승을 보며 확진한다. 그러나 조기 진단되지 않은 경우, 전형적으로 ectopia lentis, 정신 지체, 혈전색전증(thromboembolic episodies), 골다공증이 된다. 시스타치온 b 합성효 외의 효소이상이나 비타민 결핍증으로 인한 호모시스틴뇨증은 메치오닌 상승과 상관없으므로 신생아 스크리닝에 의해 발견되지 않는다. 이들 질환은 다양한 임상증상을 가지며 종종 거대적아구성빈혈(megaloblastic anemia)과 정신지체, 소두증, 발작, methylenetetrahydrofolate 환원효소결핍을 보인다.
▶확진 검사
: 혈장 total 호모시스테인 검사, 혈장과 소변 중 아미노산 분석 ; 비타민 B12와 folate 수치 ; 소변 중 유기산 검사 ; 효소검사(시스타치온 b 합성 효소 활성도: 피부 섬유아세포, 간, photohemagglutinin-stimulated lymphocytes)(해외 의뢰검사) ; DNA sequencing(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classical homocystinuria)
▶산전 진단
: 가능
Isovaleric acidemia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isovaleryl CoA dehydrogenase 결핍에 의한 아미노산 leucine의 대사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두가지 임상 양상이 있다. 심한 임상증상을 보이는 신생아 형은 생후 첫 2주 동안 젖을 잘 빨지 못하며 구토, 기면상태, 저체온증, 발작증세를 보인다. 발에 땀이 많이 나며 발고린내가 심하다(sweaty feet odor). Metabolic acidosis, ketonuria, lactic acidemia, 고암모니아증, transient bone marrow suppression, hypocalcemia(저칼슘혈증)를 보인다. 만성적인 간헐적 형은 생후 첫 1년 동안 단백질 섭취 증가로 급성적으로 병이 악화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임상적 증상은 구토와 기면상태를 보이다가 혼수상태, ketonuria 와 함께 acidosis, 특징적인 악취를 보이므로 확진된다. 설사, bone marrow suppression, 탈모증, 고혈당증도 보고되었다. 급성 신생아형의 환자로서 생존한 경우 만성적으로 간헐적인 임상 증상을 계속해서 나타낸다.
▶확진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 ; 효소 검사(피부 섬유아세포 isovaleryl CoA dehydrogenase assay)(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Krabbe disease(Globoid-cell leukodystroph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리소좀에서 galactocerebroside b-galactosidase의 결핍에 의한 galactocerebroside 에서 ceramide와 galactose로의 분해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초기 발병형과 나중 발병형이 있지만 classical form은 보통 생후 3~6개월에 나타난다. 다양한 자극에 대해 과민반응 혹은 흥분과 같은 특징적이 아닌 변화를 보인다. 이때는 손놀림이나 행동의 퇴보를 확실히 볼 수 있다. 어떤 어린이는 발작과 구토를 한다. 이런 증상 후에는 급격히 심하게 모든 것이 퇴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flexe는 증가하고 marked hypertonicity가 나타난다). 이 질환의 마지막 단계에서 어린이는 뇌의 장애가 오며 장님이나 귀머거리가 되며 전혀 자극에 반응을 하지 않는다. 유아기와 늦은 유아기형에서는 cerebrospinal fluid(CSF)의 단백질이 증가한다. 다른 variant에서는 CSF에서의 단백질은 정상일 수 있다. EMG와 신경 유도작용 연구에서 말초 신경장애는 흔히 특징적이고 뇌 imaging에서는 white matter쪽의 질환을 볼 수 있다.
▶확진 검사
: 효소검사(galactocerebroside b-galactosidase 백혈구와 피부 섬유아세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Maple syrup urine disease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가지형 ketoacid dehydrogenase 결핍에 의한 아미노산 중 valine, leucine, isoleucine의 대사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이 질환의 일반적인 임상적 표현형은 보통 효소분자의 결함의 정도가 어느정도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신생아형이나 classical 표현형은 가장 심한 임상 증상이 나타나며 metabolic ketoacidosis, 기면상태, 출생후 며칠 내에 마비가 온다. 중간적인 임상형에서는 종종 성장 부진, 신경학적 장애, ketoacidosis가 나타난다. 간헐적인 임상형에서는 단백질 섭취증가나 병을 앓고 난 사이사이에 운동 실조증(episodic ataxia)과 ketoacidosis가 나타난다. Thiamin-responsive 형인 경우는 다량의 thiamin 복용으로 증상이 개선된다. 이 질환의 급성적인 위험은 metabolic ketoacidosis와 종종 저혈당증, 고암모니아증과 관련이있다. 식욕감퇴, 구토, 기면상태, 운동실조, 발작을 포함해 대사이상의 위험상태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인해 혼수상태(coma)로 진행될 수 있다. Classical 형, 중간형, 간헐적인 형에서 임상적인 위험의 순간에 빠질 수 있는 경우는 감염, 수술, 신생아기의 스트레스와 과도한 단백질 섭취와 같은 catabolic stressors가 포함된다.
▶확진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 ; 혈장 중 아미노산 검사 ; 효소검사(가지형 ketoacid dehydrogenase activity(피부 섬유아세포 ; lymphocyte))(해외 의뢰검사) ; DNA mutation analysis(해외 의뢰검사)
▶유전 (Inheritance)
: 상염색체 열성유전
▶산전 진단
: 가능
Medium Chain Acyl CoA dehydrogenase(MCAD) deficiency
▶병의 원인(pathophysiology)
: medium-chain acyl-CoA dehydrogenase 결핍에 의한 지방산의 대사 장애
▶임상 증상(Clinical presentation)
: 백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지방산 대사 질환의 하나로 MCAD 결핍증은 금식의 기간이 길어지면 발생하며 metabolic acidosis와 저케톤성의 임상적 특징을 보이며 Reye-like episodes처럼 재발하는 경우가 많고 생후 7개월에서 3년 사이에 발생한다. 이 질환은 경구 섭취가 감소하면서 발병한다. 따라서 저혈당증과 metabolic acidosis가 있으면서 혈중 암모니아 수치, uric acid, liver function test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어린이의 증상은 주로 혼수상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episodes 사이에 병에 걸린 환자는 아무 증상이 없다. 불행하게도 이 질환은 백인에게 잘 나타나며 갑작스러운 예기치 못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흔하지 않지만 신생아기에 발병한 경우나 평생동안 증상을 가지는 사람들도 증상이 없혀 없는 기간이 있는 것을 보고되어있다.
▶확진 검사
: 소변 중 유기산 검사 ; 혈중 acylcarnitines 검사; 피부 섬유아세포 지방산 산화 assay ; 혈중 DNA mutation analysis(해외 의뢰검사)
출처 : (재)서울의과학연구소